<p></p><br /><br />요즘 아파트에 월패드 많이 설치돼있죠. <br> <br>이걸로 현관 밖을 확인하거나 경비실과 통화도 할 수 있는데요. <br> <br>최근 전국 아파트 월패드 해킹 영상과 명단이 돌면서,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<br> <br><br><br>월패드 해킹, 막을 방법 있는지 따져봅니다. <br> <br>사건이 처음 알려진 건 지난달 홍콩 웹사이트에 올라온 이 게시물 때문입니다.<br><br><br><br>해커들이 'h국' 즉 한국 아파트 스마트홈 시스템을 해킹해서, 동영상 수십만 개가 유출됐다고 적혀 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명단 속 일부 아파트의 서버에 이상 징후가 있는 걸 확인하고 실제 피해를 본 사실이 있는지 확인 중입니다. <br> <br>[해킹 추정 아파트 관리사무소] <br>"(주민 문의가) 한두 건 있었습니다. (해킹) 가능성이 없지는 않기 때문에…." <br> <br>왜 우리나라 아파트가 표적이 된 걸까요. <br><br><br><br>보안 전문가들은 공동주택의 홈네트워크가 하나의 망에 연결돼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. <br> <br>세대 하나만 해킹하면, 단지 전체 보안을 무력화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상진 /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원장] <br>"방화벽이란 건 외부에서 (공격이) 들어오는지 안 들어오는지를 차단하는 것이거든요. 지금은 한 군데가 뚫리면 다른 데 쭉 뚫린다는 것인데…." <br> <br>이런 대규모 해킹, 막을 방법이 있을까요? <br><br><br><br>공동주택 보안 네트워크를 나누는 '망 분리'가 대안으로 거론됩니다. <br><br>집집마다 사이버 경계벽을 세우자는 겁니다. <br> <br>침입 방지 및 탐지시스템, 통신 보안 기능을 갖춘 전문 업체 장비나 시스템을 쓰는 것도 방법입니다. <br><br><br><br>문제는 이런 시스템 구축에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건데요.<br> <br>당장 집안에서 도청이나 몰래 촬영되는 피해를 막을 방법은 뭘까요. <br><br><br><br>우선 사용하지 않는 월패드 카메라는 가려야 하고요. <br> <br>비밀번호를 따로 설정한 적이 없다면 현관문과 똑같이 수시로 바꾸는 게 안전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취재 : 권솔 기자 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성정우 김재하 디자이너